본문 바로가기
[식스시그마] 치명인자 선정(Analyze) - 정량적 분석(통계적 가설검정) 식스시그마 통계적 분석이란, 데이터의 수집이 용이하고, 그래프 분석으로만 확실한 유의차를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 통계적 기법에 의해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소수의 조절 가능한 원인 즉, 치명인자는 반드시 존재하며, 관심사항은 변수이고, 측정된 데이터는 변동을 가진다. → 인자 별 수준은 제품, 공정 등에 적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CTQ(Y)의 유의차를 파악 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 통계적 가설검정 종류는 다음과 같다. 2023. 8. 24.
[식스시그마] 치명인자 선정(Analyze) - 정량적 분석 식스시그마 치명인자 선정단계의 목적은 도출된 잠재인자에 대해 적절한 정량적/정성적 검증 계획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치명인자를 선정한다. 1. 치명인자 선정의 정량적 분석 : 현상을 이해하고, 결과를 예상하며, 적절한 가설을 설정하고 사실에 근거하여 이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객관적이고 상식적인 차원에서 수용한다. 1) Output-Based : 기대 결과의 구체적 Output-Image를 구성하고 분석한다면, 짧은 시간과 적은 노력으로 초기에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80/20 Rule 2) Hypotheses-Based : 해결과제에 대한 적절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수정/보완해 가며, 결론에 도달한다. 실제적인 수행 전에 목적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사실에 근거하여 수정한다... 2023.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