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스시그마 방법론
: 식스시그마의 방법론은 Define/Measure/Analyze/Improve/Control 다섯 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단계에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해 가며 통계적으로 문제해결하는 방법이다.
- Define
: 과제의 선정배경 및 프로세스를 파악하여 개선기회를 명확히 정의하고 고객 핵심요구사항과 연계된 CTQ를 선정함.
1) 개선기회 확인
: Project의 개선대상 영역을 명확히 정의하고 올바른 추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함
: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개선기회를 상세화하고 조기에 성과를 가시화할 수 있는 Quick Win 항목을 도출함
: 주요활동으로는 등록서 작성 및 프로세스 분석
2) CTQ 선정
: 고객의 소리를 수집 및 분석하여 고객의 핵심요구사항을 도출함
: 고객의 핵심요구사항과 연계된 CTQ 선정을 통해 Project의 성과를 대표할 수 있는 지표를 CTQ로 선정함
: 주요활동으로는 고객핵심요구사항 정의 및 CTQ 선정
- Measure
: 기준 실적을 파악하고 목표 및 개선방향을 구체화하며 층별 화 분석 및 관련 인원 토의 등을 통해 CTQ개선을 위한 잠재인자를 도출함.
1) 기준실적 파악 및 목표 설정
: 측정지표를 정의하여 데이터 수집 계획을 수립하고 데이터의 안정성을 검토함
: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현재 프로세스의 능력을 분석하여 기준실적을 파악하고 목표를 선정함
: 주요활동으로는 데이터 수집 및 안정성 검토 및 프로세스 능력 분석
2) 잠재인자 도출
: 데이터의 층별화 분석을 통해 집중 분석 영역을 선정하고 관련 인원(전문가 및 팀원)과의 토의 등을 통해 잠재인자를 도출함
: 주요활동으로는 층별 화 분석 및 브레인스토밍
- Analyze
: 잠재인자의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을 통해 CTQ를 개선할 치명인자(근본원인)를 선정함
1) 치명인자 선정
: 도출된 잠재인자에 대해 적절한 정량적/정성적 검증 계획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치명인자를 선정함
: 주요 활동으로는 정량적 분석 및 정성적 분석
- Improve
: CTQ의 개선을 위해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 및 평가, 실험계획법을 통해 최적안을 선정하고 재현성 평가를 실시하여 CTQ와 Y의 개선 효과를 검증함
1) 최적안 선정
: 대안인자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 및 평가를 통해 최적 안을 선정하고 제어인자는 실험계획법 등을 통해 최적안을 선정함
: 주요활동으로는 대안인자 최적화 및 제어인자 최적화
2) 재현성 평가
: Pilot Test을 실시하여 최적 안의 예상 효과를 검증하고 본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Risk를 사전에 검증함
:주요 활동으로는 Pilot Test 계획 수립 및 실행
- Control
: 최적 안의 본 실행 적용 및 성과 유지를 위한 관리 및 Best Practice 확대적용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함
1) 관리 계획 수립
: 잠재적인 Risk 분석을 실시하고 최적 안 본 실행 적용 및 성과 유지를 위해 관리 계획을 수립함
: 주요 활동으로는 잠재적 Risk 분석 및 관리계획서 작성
2) 관리 및 BP 확대 적용
: 관리 계획에 맞춰 주요 관리항목을 모니터링 및 조치하고 Best Practice의 확대적용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함
: 주요 활동으로는 모니터링 및 조치 및 Best Practice 확대 적용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스시그마] 식스시그마 방법론 - 개선기회확인(Define) 프로세스 분석 (0) | 2023.07.17 |
---|---|
[식스시그마] 식스시그마 방법론 - 개선기회확인(Define) 프로젝트 선정 및 등록 (0) | 2023.07.15 |
[식스시그마] 데이터 분석 기초 - 회귀분석 (0) | 2023.07.13 |
[식스시그마] 데이터 분석 기초 - 분산분석 (0) | 2023.07.12 |
[식스시그마] 데이터 분석 기초 - 통계적 가설검정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