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efine-개선기회확인
Define의 개선기회확인 단계에서는 과제의 선정배경 및 프로세스를 파악하여 개선 기회를 명확히 정의하고 고객 핵심요구사항과 연계된 CTQ를 선정한다. 개선기회확인은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 개선기회확인 - 프로젝트 선정
: 식스시그마 프로젝트란 비즈니스 이슈를 반영하고,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고객의 요구사항을 수용해야 한다.
<프로젝트 선정의 세부 기준>
- 중요한 고객의 요구 사항과 명확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 사업 성과와 밀접하여 Impact가 큰가?
- 조직이나 팀원의 직무, 목표와 직결되어 있는가?
- 측정 가능한 지표로 표현되는가?
- 이미 알려진 답이 있는가? 만일 있다면 프로젝트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Quick Win으로 즉시 개선하라
- 문제의 범위가 주어진 일정과 Resource로 해결이 가능한가? 그렇지 않다면 문제의 범위를 세분화하고 단계별 일정을 나누어 수행하라
<Big Y>
: 중장기 전략 실현을 위한 전략 과제로부터 비즈니스 이슈를 확인하고 전사 단위에서 전개된 중점 추진 과제 중 Big Y를 선정함.
2) 개선기회확인 - 프로젝트 등록
: 프로젝트 수행 초기에 추진배경, 개선기회, 활동목표 및 범위 성과 팀구성 추진일정 등을 명확히 확립하여 팀 구성원에게 과제의 추진 방향 및 활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함
<추진배경의 명확화란?>
: 과제의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성하며, 선정된 과제와 기업의 사업 목표와의 연계성, 고객의 소리, 산업의 동향 및 시장 경쟁 상황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기술함 추진배경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음
- 해당 과제 수행의 중요성
- 회사의 사업 방향 및 목표와의 연계성
- 고객의 요구사항
- 왜 지금 시점에 과제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
- 과제와 관련된 활동들의 우선순위
- 과제 수행을 통한 예상 성과
<개선기회의 기술이란?>
: 무엇이 문제인지 해당 프로세스의 문제와 활동을 해야 하는 구체적 이유를 기술하는 것임 추진배경은 주로 과제 수행을 통한 비즈니스 상의 이득에 초점을 맞추어 목적을 서술한 것 개선기회의 구체화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해야 함
- 무엇이 잘못되었고 또는 무엇이 안되고 있는가?
- 무엇이 개선되어야 할 기회가 되는가?
- 이 문제로 인해 고객이 받는 "고통"은 무엇인가?
- 언제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는가?
-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고 광범위한가?
<목표의 기술이란?>
: 목표의 기술은 과제를 통하여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서술하는 것으로 측정 가능하고, 구체적이며 과제 수행 기간 내에 달성 가능한 것이어야 함
<과제 범위란?>
: 개선기회의 경계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를 규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것이며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음
- 프로세스의 시작과 끝점은 어디인가?
- 조직의 어떤 부붐이 과제에 포함되는가?
- 대상 프로세스의 어느 고객과 상품이 포함되는가?
- 어떤 제약 조건 안에서 팀 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는가?
<팀 구성이란?>
: 과제를 추진할 팀원을 선정하고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며 주요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음
- Champion, Process Owner, 지도 MBB/BB는 누구이며 그들은 팀에서 어떤 책임이 있는가?
- 개별 팀원의 역할은 무엇이며 어느 단계에서 필요하게 되는가?
- 팀 리더의 책임은 무엇인가?
- 팀의 보고 주기와 방법은?
- 어떤 유형의 팀원들이 어떤 단계에서 필요한가?
<과제 일정이란?>
: 과제완료까지 전체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중요 이벤트 성격의 일정계획을 Milestone으로 나타낸 것이며 과제 수행 계획은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 내용을 정의하고 완료를 위한 일정을 설정하는 것임 주요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음
- 과제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활동 내용은 무엇인가?
- 과제 계획에서 핵심이 되는 활동은 무엇인가?
2. 프로젝트 등록 - SMART
: 프로젝트 등록서의 초안 작성이 끝나면 "SMART"기준에 따라 평가를 해야 함
"SMART"는 프로젝트 등록서가 효과적이고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임
S(Specific) : 실제로 구체적인 비즈니스 문제를 다루고 있는가?
M(Measurable) : 측정 가능한 문제인가? 현재의 성과가 측정되었고, 개선 목표가 정해졌는가?
A(Aggressive & Attainable) : 너무 달성하기 쉬운 목표는 아닌가? 달성 가능한 목표인가? 과제 수행 기간은 현실적인가?
R(Relevant) : 과제는 비즈니스 전략과 일치하는 과제인가?
T(Time Bound) : 과제 수행 완료 일정이 정해졌는가?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스시그마] 식스시그마 방법론 - 개선기회확인(Define) 프로세스 분석(SIPOC) (0) | 2023.07.18 |
---|---|
[식스시그마] 식스시그마 방법론 - 개선기회확인(Define) 프로세스 분석 (0) | 2023.07.17 |
[식스시그마] 식스시그마 방법론 - DMAIC(Define) (0) | 2023.07.14 |
[식스시그마] 데이터 분석 기초 - 회귀분석 (0) | 2023.07.13 |
[식스시그마] 데이터 분석 기초 - 분산분석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