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

[식스시그마] 잠재인자 도출(Measure) - 층별화 분석/공학적 접근/브레인스토밍

by 두리파파월드 2023. 8. 18.
반응형

1. 층별화 분석

 

식스시그마 잠재인자 도출 단계의 층별화 분석 목적은 데이터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근본원인 분석 및 해결에 집중할 구체적인 문제 영역(분석 범위)을 정의하는 것으로, 데이터 수집 계획에 반영된 층별화 변수에 대해 분석을 진행한다. 

 

층별화 변수

: 데이터는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층별 화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CTQ 및 CTQ 연관 지표에 대한 영향 요소들을 다각도로 분석해 볼 수 있는 인자를 층별화 변수로 선택하게 된다. 

 

층별화 변수 발굴 Framework

1) 5M1E

- Man : 사람의 일하는 방식, 개개인의 업무/공정 이해도, 개인역량

- Machine : 설비/장비의 성능 차이, 기계의 노화 등 기계와 관련된 요인

- Material : 사용되는 재료의 성분, 소재, 품질 등

- Method : 업무수행 방법, 공정 배치, 작업방법, 표준화 등

- Measurement : 측정도구의 정밀성, 계측정비

- Environment : 업무 환경, 법률 등 프로세스 환경과 관련된 요인

 

2) 4P

- Product : 상품, 서비스, 포장, 디자인, 브랜드, 품질 등

- Price : 상품에 매기는 가격(가격은 이윤 극대화, 판매 극대화, 경쟁자 진입 규제 등 시장 전략에 따라서 달라짐)

- Place :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유통시키는 장소로 물리적 개념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유통경로와 관리 등의 공간적인 개념까지도 포함함

- Promotion : 광고, PR, 다이렉트 마케팅, 판매촉진 등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의미함

 

이러한 층별화 분석을 통해 문제 발생 영역 및 잠재인자를 도출 할 수 있으며, 층별화 분석은 데이터 수집 계획에 반영된 층별화 변수에 대해 그래프 분석을 진행함

 

 

2. 공학적 접근

 

잠재인자 도출을 위한 공학적 접근은 프로세스 및 메커니즘 분석 등을 통해 과제 해결을 위해 해명해야 할 사항을 전개하고, 관련된 물리/화학 이론과 연결 지어 가설을 설정하고 이론식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 모델의 선정

1) 물리, 화학의 기본법칙/이론과 연결지어 이론식을 도출하거나, 기술 논문 등을 탐색하여 문제 해결과 관련된 이론식을 선정

 

2) 이론식으로 도출되지 않는 경우 물리, 화학적인 타당성을 유지하면서 연역적으로 옳은 논리로 CTQ의 움직임과 관련된 대표적인 Pattern을 추축 한다. 

 

※대표적인 Pattern

물리,화학적 모델의 대표적인 Pattern

 

3.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의 기본원칙 4가지

- 좋고 나쁘다는 비판은 절대로 금한다. 

- 틀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분방한 사고를 환영한다.

- 질보다는 양을 추구한다.

- 타인의 아이디어에 편승하여 발전시킨다. 

 

1) Brain Writing

: Brain Writing 법은 독일의 홀리겔이 1968년 브레인스토밍에서 힌트를 얻어 고안한 기법으로 6명의 참가자가 각자 3가지의 아이디어를 5분씩 차례로 도출하여 개인의 생각을 집단사고로 발전시키는 기법 6,3,5 법이라고도 한다. 

 

2) 5Why

: 층별화 분석 결과, 유의한 층별화 변수에 대해 왜? 차이가 발생할까? 라는 질문에 대해 그 답이 "모른다"라는 것이 될 때까지 이 질문을 계속하여 근본적인 인자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

 

3) 특성요인도

문제의 근본원인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Fishbone Diagram이라고도 한다. 

문제의 잠재적 원인을 순서대로 범주화하고 그 범주에 속하는 프로세스 상의 문제들을 모두 기술한 뒤에 근본적 주요 원인을 찾아나가는 방식으로 진행

 

4) Logic Tree

MECE의 사고방식에 따라 주요 항목을 Tree 형태로 분해하는 분석 방법

: 5M1E, 4P, Process Sequence, Brainstorming시 도출된 중요 항목을 고려하여 작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