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Q(Critical to Quality)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고객과 비즈니스 관점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핵심 특성치
2) 고객 핵심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프로세스의 Output에 대한 성능 및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정의한 품질특성 지표
3) 고객의 요구사항이나 프로세스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상품, 서비스, 프로세스 성능 및 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품질특성으로서, 주로 개선 프로세스의 결과 지표인 Output 지표 중에서 과제의 목적인 고객 핵심요구사항 만족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것으로 선택됨
4) 과제의 범위에 따라 여러 개의 CTQ가 함께 개선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Define 단계에서 결정하기 어려운 때에는 Measure나 Analyzze 단계에서 프로세스 및 원인 분석을 통하여 고객 핵심요구사항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품질특성 지표를 새롭게 개발하기도 함
1. CTQ 선정 시 고려사항
1) 고객 핵심 요구사항과 연계
- 고객 핵심 요구사항(CCR,CBR)을 만족시키는데 영향도가 큰것, 즉 대표성이 있는 지표를 CTQ를 선정해야함.
(그렇지 않은 경우, CTQ는 개선되었어도 고객 핵심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 알 수 없음)
2) 유용한 주기로 측정 가능할 것
- 분석 및 의사결정 할 수 있도록 적정 주기로 측정될 수 있어야 함
3) 정량적 데이터를 선정
- 정보의 양이 큰 데이터 유형을 선정해야 적은 데이터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분석에 유리함
- 이산형 데이터를 CTQ로 선정하는 경우, 분석에 많은 데이터가 요구됨
4) 실제 현상을 반영하도록 Raw Data를 사용
- 평균 또는 요약 값이 아닌 Raw Data를 그대로 사용하여 실제 현상이 데이터로 표현되게 함
2. CTQ 선정 방법
1) 고객 관점의 핵심요구사항(CCR)과 비즈니스 관점의 핵심요구사항(CBR)에 연계된 프로세스의 Output지표를 도출하고 이 중 연계성이 높은 지표를 CTQ로 선정함
2)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란 품질기능전개로써, 고객의 핵심 요구사항을 기술적 요구사항(사양)으로 전환하여 CTQ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3) FMEA(Faliure Mode and Effects Analysis)를 통해 도출 된 고위험항목(High RPN)을 CTQ로 선정
4) 지표에서의 CTQ 선정하는 것은 평가항목으로 측정의 용이성 및 데이터의 유형들을 부가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음
- 산점도 : 두 종류의 데이터의 관계를 문제로 삼을 때 그 상관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산점도에서 데이터는 정의 형태로 표현되며 점이 흩어져 있는 모양을 보인다.
- 회귀분석: 인과관계가 있는 연속형 변수들간의 관계를 측정된 변수들의 자료로 부터 추정하여 방정식 모형을 추정하는 통계적 분석방법
3. 연관시표 도출 - Process 지표 도출
: CTQ와 연관이 높은 지표는 측정 단계에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잠재인자를 도출하는데 활용한다.
3-1. Process 지표 도출
: 프로세스 결함은 CTQ 지표로 측정될 수 있으나 CTQ지표만으로는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를 제거하기에 불충분함. 이러한 점 때문에 구체적인 Process 지표가 필요함
3-2. Process 지표 도출 방법
1) 프로세스의 흐름단계 및 현상 정리
2) 프로세스 맵의 검토를 통해 측정을 위한 논리적 "관리 포인트"를 선정함
3) 프로세스 원인과 효과에 대한 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최적의 지표를 결정함
3-3. 올바른 Process 지표의 선택 기준
1) 지표는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연속형 데이터를 제공하여야 함
2) 실제로 측정된 데이터는 프로세스의 원인과 효과에 대한 관계를 평가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함
4. 연관지표 도출 - Input 지표 도출
4-1 올바른 Input 지표의 선택 기준
1) Input Indicator가 공급업체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우리의 핵심 요구사항을 측정하는가?
2) Indicator가 고객 핵심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우리 프로세스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Input 요소를 측정하는가?
3) Input Indicator는 진정한 "예측치"인가?
4) Indicator는 중대한 검사, 스크랩, 재작업 또는 사이클 타임 초과를 제거하는 것과 관련이 되는 Input인가?
5. 지표(Indicator)간의 연관관계 정립
: 어떤 Input 및 Process 지표가 CTQ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지표간 연관관계 정립이 필요함
연관관계가 높은 지표는 Measure 단계의 기준실적 파악 및 목표설정 Step에서 연관지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잠재인자 도출 Step에서 층별화 분석 등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여야 함
관계성의 강도는 Input 또는 Process Indicator의 변화가 CTQ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에 기초함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스시그마] 기준실적 파악 및 목표설정(Measure)-데이터 수집 및 안정성 검토(측정시스템 분석 MSA) (0) | 2023.07.25 |
---|---|
[식스시그마] 기준실적 파악 및 목표설정(Measure)-데이터 수집 및 안정성 검토 (0) | 2023.07.24 |
[식스시그마] CTQ선정(Define)-고객핵심요구사항정의 (0) | 2023.07.20 |
[식스시그마] 식스시그마 방법론 - 개선기회확인(Define) 프로세스 분석(FDPM) (0) | 2023.07.19 |
[식스시그마] 식스시그마 방법론 - 개선기회확인(Define) 프로세스 분석(SIPOC) (0) | 2023.07.18 |